Research article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31 August 2021. 85~94
https://doi.org/10.11109/JAES.2021.23.2.085

ABSTRACT


MAIN

  • 서 론

  • 재료 및 방법

  •   1. 양분수지

  •   2. 양분관리 지표의 산출방법

  •   3. 통계자료

  • 결과 및 고찰

  •   1. 양분유입

  •   2. 양분유출

  •   3. 양분수지 산출 방법론에 따른 양분관리 지표 비교

  • 결 론

서 론

우리나라는 2017년 기준 OECE 국가 양분수지 지표에서 질소수지 1위, 인수지 2위로 보고되고 있으며 (OECD, 2017), 전국 무기질 비료 중 질소질 비료와 인산질 비료의 사용량은 2015년 188,883, 61,469 ton에서 2019년 250,657, 79,805 ton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MAFRA, 2020), 농경지에 양분의 과다 투입으로 인한 수계 비점 오염원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농경지로 투입된 양분은 작물에 흡수 이용되며, 작물에 이용되지 않는 잉여 양분은 대기 ‧ 수계 등으로 유출되어 농업 환경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이에 정부는 「가축분뇨 관리 ‧ 이용 대책」 (ME ‧ MAFRA, 2004), 「지역단위 양분총량제도 도입 세부시행방안 연구」 (KREI, 2005), 「지역단위 양분총량제도 도입세부시행방안 연구」 (KREI, 2005), 「양분총량제 도입을 위한 기반조성 연구」 (ME ‧ MAFRA, 2016), 「농업분야 양분수지 개선 방법론 및 정책 비교 평가」 (RDA, 2019) 등의 연구를 통해 농경지 투입양분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이에 환경부는 2021년 지역의 농업환경을 고려한 지역단위 양분관리 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양분수지 지표는 농경지로 투입되는 양분과 작물생산, 작물부산물 이용, 대기, 수계로 유출되는 양분의 수지를 나타낸다 (Kim et al., 2017; Lee et al., 2021).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양분수지 지표는 총양분수지 (Gross nutrient balance, GNB)와 순양분수지 (Net nutrient balance, NNB) 지표가 있으며, 총양분수지 지표는 농경지로 투입된 양분 중에서 대기와 수계로 유출되는 양분의 양 (kg/ha)을 의미한다. 순양분수지 지표는 농경지로 투입된 양분 중에서 수계로 유출되는 양분의 양 (kg/ha)을 의미한다. 양분수지 지표는 농경지가 요구하는 양분 요구량 대비 투입양분의 비율을 의미하는 양분부하 (Nutrient loading) 지표와 비교하여 산정항목이 많고 산정방법이 복잡한 측면이 있으나, 다양한 양분저감 방안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Lee and Yoon, 2019).

양분수지는 산정 방법은 분석대상의 경계조건에 따라 농장수지 (Farm budget), 토지수지 (Land budget), 토양수지 (Soil budget)로 구분하고 있다 (Leip et al., 2011). 농장수지는 개별 경축순환 농장을 경계조건으로 설정한다. 또한, 토지수지는 지역 (행정구역 등)을 경계조건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토양수지는 지역 내 농경지를 경계조건으로 설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토지수지는 가축분뇨 저장 및 퇴 ‧ 액비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질소 휘산량을 포함하여 산정하나, 토양수지는 가축분뇨 저장 및 퇴 ‧ 액비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질소 휘산량을 산정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토양수지는 토지수지와 비교하여 양분의 유입 및 유출과 관련한 산정항목에서는 유사한 특성이 있으나 지역 또는 농경지의 경계조건의 차이로 인하여 양분수지 지표에서 차이를 보인다. 국내에서는 토지수지와 토양수지에 의한 농경지 양분관리지표 산정방법이 연구된 바 있으며 (RDA, 2019), KREI (2018)에서는 토지수지와 토양수지 산정방법을 비교하고, 토지수지의 경우, 농업환경의 종합적인 양분수지 자료를 확보할 수 있으나, 대기 질소유출의 과다 산출 및 부정확성, 퇴 ‧ 액비 자원화, 정화처리에 의한 양분 감소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적한 바 있다. 또한, 토양수지 방법론은 농경지 중심의 양분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가축분뇨 자원화 및 정화처리 시 소실되는 양분이 제외되어 축산업계의 제도 수용성이 유리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합리적인 양분관리제도 도입을 위한 여러 토지수지와 토양수지 방법론의 비교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재 지역단위 양분수지 사례 분석을 통한 양분수지 지표간의 비교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분관리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지역의 양분수지 사례 분석자료에 기초하여 토지수지와 토양수지 방법론에서의 양분수지 지표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2019년 전국 도 단위의 토지수지와 토양수지 방법론에 기초하여 양분수지 지표 (총양분수지, 순양분수지)를 산출하였으며, 양분수지 지표 산정결과를 통해 각 양분수지 산출 방법론 간의 특성을 비교 ‧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양분수지

(1) 분석모델

농경지 양분수지의 분석에서 유입양분은 농업생산을 위해 투입하는 비료 (가축분뇨 퇴 ‧ 액비, 무기질비료, 유기질비료)를 항목으로 두었으며, 경작지 내에서의 생물학적 질소고정, 종자투입, 대기강하물, 관개용수에서 기인하는 양분투입 항목을 모델에 반영하였다 (Figure 1). 농경지 유출양분 분석은 작물생산 ‧ 부산물로 인한 양분의 유출과 지하침출, 유거에 의한 수계유출, 휘발, 탈질 (N2O)에 의한 대기유출 항목을 설정하였다 (Lee and Yoon, 2019).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jaes/2021-023-02/N0360230206/images/jaes_23_02_06_F1.jpg
Figure 1.

Model for the nutrient balance analysis of cropland.

(2) 토양수지 분석 방법

토양수지의 산출항목은 크게 유입과 유출항목으로 구분하며, 유입항목에는 무기질 비료, 가축분뇨 퇴 ‧ 액비, 유기질비료, 생물학적 질소고정, 대기강하물에 의한 질소 유입, 종자, 종묘, 관개수에 의한 양분 유입이 있으며 (Table 1), 양분의 유출항목에는 작물생산, 작물부산물의 회수 이용에 의한 양분 유출, 대기로의 암모니아 휘산 및 탈질에 의한 양분유출, 수계로의 양분 유출 (Table 2)이 있다.

Table 1.

Equations for calculation of nutrient input amount by soil budget.

Nutrient input Equations
N1) Inorganic fertilizer
(IOFinput, kg ha-1 yr-1)
inFiCi [Fi (kg ha-1 yr-1) : supply by fertilizer type (i), Ci (%) : nutrient content by fertilizer type (i)]
N2) Livestock fertilizer
(LFinput, kg ha-1 yr-1)
mn(ln(kn(i,jnLHi×LMj)×LFPk)×LFCl)×LFTm [LHi (heads) : head number by
livestock type (i), LMj (kg ha-1 yr-1) : livestock excretion unit by livestock type (j), LFPk (%) : ratio of
livestock fertilizer type (compost, liquid fertilizer) (k), LFCl (%) : nutrient content of livestock
fertilizer type (l), LFTm (%) : nutrient conversion coefficient during livestock fertilizer production by
fertilizer type (m)]
N3) Organic fertilizer
(OFinput, kg ha-1 yr-1)
inOFi×OFCi [OFi (kg ha-1 yr-1) : supply by organic fertilizer type (i), OFCi (%) : nutrient content
by organic fertilizer type (i)]
N4) Nitrogen fixation
(BNFinput, kg ha-1 yr-1)
inBNCi×(1+Pi)×BMi×BNFUi) [BNCi (kg ha-1yr-1) : crop production by legumenous
crop type (i), Pi (%) : crop factor (byproduct production/grain production) by legumenous crop
type (i), BMi (%) : dry matter content of biomass by legumenous crop type (i), BNFUi (kg-N kg-1-DM)
: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unit by legumenous crop type (i)]
N5) Atmospheric deposition
(APinput, kg ha-1 yr-1)
i,jnAi×APUj [Ai (ha) : cultivation area by crop type (i), APUj (kg-N ha-1 ha-1yr-1) : Atmospheric
deposition coefficient by deposition type (Wet & dry deposition) (j)]
N6) Seed & plant material
(Sinput, kg ha-1 yr-1)
inSi×SNi [Si (ha) : sowing amount by crop type (i), SNi (%) : nutrient content by crop type (i)]
N7) Irrigation water
(IWinput, kg ha-1 yr-1)
Arice×0.3m×4×IWC [Arice (ha) : rice cultivation area, IWC (%) : nutrient content of irrigation
water]
Table 2.

Equations for calculation of nutrient output amount by soil budget.

Nutrient output Equations
N8) Crop production
(CPoutput, kg ha-1 yr-1)
inCPi×CPNi [CPi (kg ha-1yr-1) : crop production by crop type (i), CPNi (%) : nutrient content
by crop type (i)]
N9) Crop byproduct
(CBoutput, kg ha-1 yr-1)
inCPi×Bi×BCi [CPi (kg ha-1yr-1) : crop production by crop type (i), Bi (%) : crop byproduct
production coefficient by crop type (i), BCi (%) : nutrient content by crop byproduct type (i)]
N10) Atmospheric outflow
(VDoutput, kg ha-1 yr-1)
in(FSi×FVi)+jn(Aj×DNj) [FSi (kg ha-1yr-1) : supply by fertilizer type (i), FVi (%) :
ammonium nitrogen volatilation rate by fertilizer type (i), Aj (ha) : cultivation area by crop type (j),
DNj (kg yr-1) : N2O-N emission amount by crop type (j)]
N11) Water system outflow
(WPoutput, kg ha-1 yr-1)
N8 - N9 - N10

(3) 토지수지 분석 방법

토지수지의 산출항목은 토양수지의 산출항목은 동일하며, 유입항목은 Table 3, 유출항목은 Table 4와 같다.

Table 3.

Equations for calculation of nutrient input amount by land budget.

Nutrient input Equations
N1) Inorganic fertilizer
(IOFinput, kg ha-1 yr-1)
inFiCi [Fi (kg ha-1yr-1) : supply by fertilizer type (i), Ci (%) : nutrient content by fertilizer type (i)]
N2) Livestock fertilizer
(LFinput, kg ha-1 yr-1)
ln(kn(i,jnLHi×LMj)×LFPk)×LFCl [LHi (heads) : head number by livestock type (i),
LMj (kg ha-1yr-1) : livestock excretion unit by livestock type (j), LFPk (%) : ratio of livestock
fertilizer type (compost, liquid fertilizer) (k), LFCl (%) : nutrient content of livestock fertilizer type (l)]
N3) Organic fertilizer
(OFinput, kg ha-1 yr-1)
inOFi×OFCi [OFi (kg ha-1yr-1) : supply by organic fertilizer type (i), OFCi (%) : nutrient content
by organic fertilizer type (i)]
N4) Nitrogen fixation
(BNFinput, kg ha-1 yr-1)
inBNCi×(1+Pi)×BMi×BNFUi) [BNCi (kg ha-1yr-1) : crop production by legumenous
crop type (i), Pi (%) : crop factor (byproduct production/grain production) by legumenous crop
type (i), BMi (%) : dry matter content of biomass by legumenous crop type (i), BNFUi (kg-N kg-1-DM)
: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unit by legumenous crop type (i)]
N5) Atmospheric deposition
(APinput, kg ha-1 yr-1)
i,jnAi×APUj [Ai (ha) : cultivation area by crop type (i), APUj (kg-N ha-1 ha-1yr-1) : Atmospheric
deposition coefficient by deposition type (Wet & dry deposition) (j)]
N6) Seed & plant material
(Sinput, kg ha-1 yr-1)
inSi×SNi [Si (ha) : sowing amount by crop type (i), SNi (%) : nutrient content by crop type (i)]
N7) Irrigation water
(IWinput, kg ha-1 yr-1)
Arice×0.3m×4×IWC [Arice (ha) : rice cultivation area, IWC (%) : nutrient content of irrigation
water]
Table 4.

Equations for calculation of nutrient input amount by land budget.

Nutrient output Equations
N8) Crop production
(CPoutput, kg ha-1 yr-1)
inCPi×CPNi [CPi (kg ha-1yr-1) : crop production
by crop type (i), CPNi (%) : nutrient content by crop type (i)]
N9) Crop byproduct
(CBoutput, kg ha-1 yr-1)
inCPi×Bi×BCi [CPi (kg ha-1yr-1) : crop production by crop type (i), Bi (%) : crop byproduct
production coefficient by crop type (i), BCi (%) : nutrient content by crop byproduct type (i)]
N10) Atmospheric outflow
(VDoutput, kg ha-1 yr-1)
(VDoutput)-1 + (VDoutput)-2
(VDoutput)-1 in(FSi×FVi)+jn(Aj×DNj) [FSi (kg ha-1yr-1) : supply by fertilizer type (i), FVi (%) :
ammonium nitrogen volatilation rate by fertilizer type (i), Aj (ha) : cultivation area by crop type (j),
DNj (kg yr-1) : N2O-N emission amount by crop type (j)]
(VDoutput)-2 (LMinput) - (LFinput)
N11) Water system outflow
(WPoutput, kg ha-1 yr-1)
N8 - N9 - N10

2. 양분관리 지표의 산출방법

본 연구에서의 양분관리 지표의 종류와 산출방법은 Table 5와 같다. 총양분수지 (Gross nutrient balance, GNB)는 총 양분의 유입에서 작물생산 ‧ 부산물로 인한 양분유출을 제외하여 산출하였으며, 대기유출과 수계유출의 합을 의미한다. 순양분수지 (Net nutrient balance, NNB)는 총 양분의 유입에서 작물생산 ‧ 부산물로 인한 양분의 유출과 대기 유출로 인한 양분의 유출을 제외하여 산출하였으며, 수계유출을 의미한다.

Table 5.

Method of calculating the nutrient management indicators.

Nutrient management indicator Calculation method
Gross nutrient balance Total input nutrient (N, P) - Output nutrient by Crop product and byproduct (N, P)
Net nutrient balance Total input nutrient (N, P) - Output nutrient by Crop product and byproduct (N, P) - Output nutrient
by atmospheric out-flow (N, P)

Gross nutrient balance, Net nutrient balance.

3. 통계자료

지역단위 양분수지 분석을 위한 통계자료는 2019년도를 기준년도로 하였으며, 가축사육두수 가축분뇨 처리현황은 환경부 (ME, 2021), 무기질비료는 농림축산식품통계연보 (MAFRA, 2020)를 사용하였다. 유기질비료는 비료사업통계 (NACF, 2017)를 사용하였다. 기타 양분의 유입 유출 항목의 산출을 위한 통계자료 및 조정계수는 ME ‧ MAFRA (2016)의 보고서 자료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양분유입

토양수지로 분석한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질소 유입은 Table 6과 같다. 경기도의 질소 유입량은 362.60 kg-N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187.85, 무기질비료 128.54 kg-N ha-1 yr-1으로 나타났으며, 제주도의 질소 유입량은 314.53 kg-N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51.98, 무기질비료 203.43 kg-N ha-1 yr-1이었다.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평균 질소 유입량은 305.03 kg-N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94.64, 무기질비료 157.63 kg-N ha-1 yr-1이었다.

Table 6.

Nitrogen input in croplands according to the soil budget.

Province Livestock
manure
Inorganic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
Nitrogen
fixation
Seed and
planting
materials
Atmospheric
deposition
Irrigation
water
Sum
kg-N ha-1 yr-1 (%)
Gyeonggi 187.85 (51.81) 128.45 (35.43) 17.08 (4.71) 1.17 (0.32) 1.88 (0.52) 23.19 (6.40) 2.98 (0.82) 362.60 (100)
Gangwon 70.40 (21.44) 199.34 (60.70) 31.20 (9.50) 1.84 (0.56) 1.56 (0.48) 23.19 (7.06) 0.87 (0.27) 328.41 (100)
Chung-buk 100.17 (34.67) 128.54 (44.49) 31.54 (10.92) 2.59 (0.90) 1.33 (0.46) 23.19 (8.03) 1.57 (0.54) 288.93 (100)
Chung-nam 127.31 (38.12) 161.56 (48.38) 14.58 (4.37) 1.10 (0.33) 2.14 (0.64) 23.19 (6.94) 4.06 (1.22) 333.95 (100)
Jeon-buk 100.14 (32.20) 165.98 (53.38) 12.32 (3.96) 1.84 (0.59) 1.93 (0.62) 23.19 (7.46) 5.56 (1.79) 310.95 (100)
Jeon-nam 58.24 (22.13) 159.34 (60.55) 17.20 (6.54) 0.92 (0.35) 1.84 (0.70) 23.19 (8.81) 2.42 (0.92) 263.16 (100)
Gyeong-buk 82.74 (29.92) 125.98 (45.56) 38.23 (13.83) 1.40 (0.51) 1.40 (0.51) 23.19 (8.39) 3.59 (1.30) 276.52 (100)
Gyeong-nam 72.93 (27.39) 146.02 (54.84) 20.12 (7.56) 0.70 (0.26) 1.60 (0.60) 23.19 (8.71) 1.69 (0.63) 266.25 (100)
Jeju 51.98 (16.53) 203.43 (64.68) 34.27 (10.90) 1.05 (0.33) 0.61 (0.19) 23.19 (7.37) - 314.53 (100)

토지수지로 분석한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질소 유입은 Table 7과 같다. 경기도의 질소 유입량은 589.63 kg-N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414.88, 무기질비료 128.45, 유기질비료 17.08 kg-N ha-1 yr-1이었으며, 제주도의 질소 유입량은 385.16 kg-N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122.61, 무기질비료 203.43, 유기질비료 34.27 kg-N ha-1 yr-1였다.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평균 질소 유입량은 440.91 kg-N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94.64, 무기질비료 157.63 kg-N ha-1 yr-1이다.

Table 7.

Nitrogen input in croplands according to the land budget.

Province Livestock
manure
Inorganic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
Nitrogen
fixation
Seed and
planting
materials
Atmospheric
deposition
Irrigation
water
Sum
kg-N ha-1 yr-1 (%)
Gyeonggi 414.88 (70.36) 128.45 (21.79) 17.08 (2.90) 1.17 (0.20) 1.88 (0.32) 23.19 (3.93) 2.98 (0.51) 589.63 (100)
Gangwon 188.63 (42.23) 199.34 (44.63) 31.20 (6.99) 1.84 (0.41) 1.56 (0.35) 23.19 (5.19) 0.87 (0.20) 446.65 (100)
Chung-buk 246.85 (56.67) 128.54 (29.51) 31.54 (7.24) 2.59 (0.60) 1.33 (0.31) 23.19 (5.32) 1.57 (0.36) 435.62 (100)
Chung-nam 316.78 (60.52) 161.56 (30.87) 14.58 (2.79) 1.10 (0.21) 2.14 (0.41) 23.19 (4.43) 4.06 (0.78) 523.42 (100)
Jeon-buk 227.02 (51.85) 165.98 (37.91) 12.32 (2.81) 1.84 (0.42) 1.93 (0.44) 23.19 (5.30) 5.56 (1.27) 437.84 (100)
Jeon-nam 150.07 (42.28) 159.34 (44.89) 17.20 (4.85) 0.92 (0.26) 1.84 (0.52) 23.19 (6.53) 2.42 (0.68) 354.99 (100)
Gyeong-buk 221.03 (53.28) 125.98 (30.37) 38.23 (9.22) 1.40 (0.34) 1.40 (0.34) 23.19 (5.59) 3.59 (0.87) 414.81 (100)
Gyeong-nam 186.72 (49.13) 146.02 (38.42) 20.12 (5.29) 0.70 (0.18) 1.60 (0.42) 23.19 (6.10) 1.69 (0.44) 380.04 (100)
Jeju 122.61 (31.83) 203.43 (52.82) 34.27 (8.90) 1.05 (0.27) 0.61 (0.16) 23.19 (6.02) - 385.16 (100)

토양수지로 분석한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인 유입은 Table 8과 같다. 경기도의 인 유입량은 74.08 kg-P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49.83, 무기질비료 19.63, 유기질비료 4.01 kg-P ha-1 yr-1이다. 제주도의 인 유입량은 73.69 kg-P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13.35, 무기질비료 52.18, 유기질비료 8.05 kg-P ha-1 yr-1이다.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평균 인 유입량은 56.63 kg-P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26.04, 무기질비료 24.41 kg-P ha-1 yr-1이다.

Table 8.

Phosphorus input in croplands according to the soil budget.

Province Livestock
manure
Inorganic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
Nitrogen
fixation
Seed and
planting
materials
Atmospheric
deposition
Irrigation
water
Sum
kg-P ha-1 yr-1 (%)
Gyeonggi 49.83 (67.26) 19.63 (26.50) 4.01 (5.41) - 0.36 (0.49) - 0.24 (0.33) 74.08 (100)
Gangwon 22.43 (36.95) 30.60 (50.41) 7.33 (12.07) - 0.29 (0.48) - 0.05 (0.09) 60.71 (100)
Chung-buk 25.28 (47.95) 19.66 (37.29) 7.41 (14.05) - 0.26 (0.49) - 0.12 (0.23) 52.73 (100)
Chung-nam 34.31 (59.56) 19.11 (33.17) 3.43 (5.95) - 0.42 (0.73) - 0.34 (0.59) 57.61 (100)
Jeon-buk 24.99 (53.44) 17.98 (38.45) 2.89 (6.19) - 0.38 (0.80) - 0.52 (1.12) 46.77 (100)
Jeon-nam 16.69 (43.06) 17.47 (45.08) 4.04 (10.43) - 0.36 (0.93) - 0.19 (0.50) 38.75 (100)
Gyeong-buk 25.85 (46.98) 19.59 (35.61) 8.98 (16.32) - 0.27 (0.50) - 0.33 (0.60) 55.02 (100)
Gyeong-nam 21.61 (42.9) 23.50 (46.75) 4.73 (9.40) - 0.31 (0.62) - 0.12 (0.24) 50.27 (100)
Jeju 13.35 (18.12) 52.18 (70.80) 8.05 (10.92) - 0.11 (0.15) - - 73.69 (100)

토지수지로 분석한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인 유입은 Table 9와 같다. 경기도의 인 유입량은 108.84 kg-P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84.59, 무기질비료 19.63, 유기질비료 4.01 kg-P ha-1 yr-1이다. 제주도의 인 유입량은 84.03 kg-P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23.69, 무기질비료 52.18, 유기질비료 8.05 kg-P ha-1 yr-1이다. 전국 도단위의 단위면적당 평균 인 유입량은 76.22 kg-P ha-1 yr-1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 45.63, 무기질비료 24.41 kg-P ha-1 yr-1이다.

Table 9.

Phosphorus input in croplands according to the land budget.

Province Livestock
manure
Inorganic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
Nitrogen
fixation
Seed and
planting
materials
Atmospheric
deposition
Irrigation
water
Sum
kg-P ha-1 yr-1 (%)
Gyeonggi 84.59 (77.72) 19.63 (18.04) 4.01 (3.69) - 0.36 (0.33) - 0.24 (0.22) 108.84 (100)
Gangwon 39.41 (50.73) 30.60 (39.39) 7.33 (9.43) - 0.29 (0.38) - 0.05 (0.07) 77.69 (100)
Chung-buk 46.76 (63.01) 19.66 (26.49) 7.41 (9.98) - 0.26 (0.35) - 0.12 (0.16) 74.21 (100)
Chung-nam 61.63 (72.56) 19.11 (22.50) 3.43 (4.03) - 0.42 (0.49) - 0.34 (0.40) 84.93 (100)
Jeon-buk 42.73 (66.24) 17.98 (27.88) 2.89 (4.48) - 0.38 (0.58) - 0.52 (0.81) 64.51 (100)
Jeon-nam 29.83 (57.49) 17.47 (33.66) 4.04 (7.79) - 0.36 (0.69) - 0.19 (0.37) 51.89 (100)
Gyeong-buk 44.74 (60.53) 19.59 (26.51) 8.98 (12.15) - 0.27 (0.37) - 0.33 (0.44) 73.92 (100)
Gyeong-nam 37.26 (56.52) 23.50 (35.66) 4.73 (7.17) - 0.31 (0.47) - 0.12 (0.18) 65.92 (100)
Jeju 23.69 (28.19) 52.18 (62.09) 8.05 (9.58) - 0.11 (0.14) - - 84.03 (100)

토양수지와 토지수지 분석에서 양분유입은 대부분 가축분뇨 퇴 ‧ 액비, 무기질비료가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가축분뇨 퇴 ‧ 액비에서 유래하는 양분은 지역의 축산현황의 특성을 반영하고 가축사육두수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축종별 분뇨의 질소, 인의 배출량 차이, 가축분뇨 처리현황, 퇴 ‧ 액비의 자원화 과정에서 대기로의 휘산 등의 이유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지역별 양분유입 현황을 고려할 때, 경기도는 가축분뇨 퇴 ‧ 액비 관리를 통한 양분수지 관리가 요구된다. 제주도는 화강암질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육지와 다르게 현무암질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도의 현무암질 토양은 양이온치환용량과 인산성분의 흡착 ‧ 고정 능력이 커서 비료성분의 작물 유효도가 낮은 특성이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무기질 비료 시비량이 많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주도 지역의 경우 무기질비료 관리를 통한 양분수지 관리가 요구되는 특성이 있다 (Lee et al., 2021).

2. 양분유출

토양수지로 분석한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질소 유출은 Table 10과 같다. 경기도의 질소 유출량은 362.60 kg-N ha-1 yr-1으로 작물생산 48.10, 작물부산물 32.39, 대기유출 56.51, 수계유출 225.61 kg-N ha-1 yr-1이다. 제주도의 질소 유출량은 314.53 kg-N ha-1 yr-1으로 작물생산 47.36, 작물부산물 7.52, 대기유출 40.00, 수계유출 219.64 kg-N ha-1 yr-1이다.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평균 질소 유출량은 305.03 kg-N ha-1 yr-1으로 작물생산 47.80, 작물부산물 35.13, 대기유출 41.77, 수계유출 180.34 kg-N ha-1 yr-1이다.

Table 10.

Nitrogen output in croplands according to the soil budget.

Province Crop Atmospheric
outflow
Water system
outflow
Sum
Crop production Crop byproduct
kg-N ha-1 yr-1 (%)
Gyeonggi 48.10 (13.27) 32.39 (8.93) 56.51 (15.58) 225.61 (62.22) 362.60 (100)
Gangwon 39.54 (12.04) 35.60 (10.84) 42.76 (13.02) 210.51 (64.10) 328.41 (100)
Chung-buk 40.59 (14.05) 33.74 (11.68) 41.33 (14.30) 173.27 (59.97) 288.93 (100)
Chung-nam 56.99 (17.06) 39.91 (11.95) 47.01 (14.08) 190.04 (56.91) 333.95 (100)
Jeon-buk 53.21 (17.11) 37.79 (12.15) 41.39 (13.31) 178.57 (57.43) 310.95 (100)
Jeon-nam 49.59 (18.84) 28.15 (10.70) 32.97 (12.53) 152.45 (57.93) 263.16 (100)
Gyeong-buk 45.71 (16.53) 45.66 (16.51) 38.81 (14.03) 146.35 (52.92) 276.52 (100)
Gyeong-nam 49.08 (18.43) 55.39 (20.81) 35.18 (13.21) 126.59 (47.55) 266.25 (100)
Jeju 47.36 (15.06) 7.52 (2.39) 40.00 (12.72) 219.64 (69.83) 314.53 (100)

토지수지로 분석한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질소 유출은 Table 11과 같다. 경기도의 질소 유출량은 589.63 kg-N ha-1 yr-1으로 작물생산 48.10, 작물부산물 32.39, 대기유출 283.53, 수계유출 225.61 kg-N ha-1 yr-1이다. 제주도의 질소 유출량은 385.16 kg-N ha-1 yr-1으로 작물생산 47.36, 작물부산물 7.52, 대기유출 110.64, 수계유출 219.64 kg-N ha-1 yr-1이다.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평균 질소 유출량은 440.91 kg-N ha-1 yr-1으로 작물생산 47.80, 작물부산물 35.13, 대기유출 177.65, 수계유출 180.34 kg-N ha-1 yr-1이다. 토양수지로 분석한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인 유출은 Table 12와 같다. 경기도의 인 유출량은 74.08 kg-P ha-1 yr-1으로 작물생산 12.21, 작물부산물 7.35, 수계유출 54.52 kg-P ha-1 yr-1이다. 제주도의 인 유출량은 73.69 kg-P ha-1 yr-1으로 작물생산 14.51, 작물부산물 1.05, 수계유출 58.14 kg-P ha-1 yr-1이다.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평균 인 유출량은 56.63 kg-P ha-1 yr-1으로 작물생산 14.59, 작물부산물 7.01, 수계유출 35.02 kg-P ha-1 yr-1이다.

Table 11.

Nitrogen output in croplands according to the land budget.

Province Crop Atmospheric
outflow
Water system
outflow
Sum
Crop production Crop byproduct
kg-N ha-1 yr-1 (%)
Gyeonggi 48.10 (8.16) 32.39 (5.49) 283.53 (48.09) 225.61 (38.26) 589.63 (100)
Gangwon 39.54 (8.85) 35.60 (7.97) 160.99 (36.05) 210.51 (47.13) 446.65 (100)
Chung-buk 40.59 (9.32) 33.74 (7.74) 188.01 (43.16) 173.27 (39.78) 435.62 (100)
Chung-nam 56.99 (10.89) 39.91 (7.62) 236.49 (45.18) 190.04 (36.31) 523.42 (100)
Jeon-buk 53.21 (12.15) 37.79 (8.63) 168.27 (38.43) 178.57 (40.78) 437.84 (100)
Jeon-nam 49.59 (13.97) 28.15 (7.93) 124.81 (35.16) 152.45 (42.95) 354.99 (100)
Gyeong-buk 45.71 (11.02) 45.66 (11.01) 177.10 (42.69) 146.35 (35.28) 414.81 (100)
Gyeong-nam 49.08 (12.92) 55.39 (14.58) 148.97 (39.20) 126.59 (33.31) 380.04 (100)
Jeju 47.36 (12.30) 7.52 (1.95) 110.64 (28.73) 219.64 (57.03) 385.16 (100)
Table 12.

Phosphorus output in croplands according to the soil budget.

Province Crop Atmospheric
outflow
Water system
outflow
Sum
Crop production Crop byproduct
kg-P ha-1 yr-1 (%)
Gyeonggi 12.21 (16.49) 7.35 (9.92) - 54.52 (73.59) 74.08 (100)
Gangwon 28.26 (46.56) 6.26 (10.30) - 26.19 (43.14) 60.71 (100)
Chung-buk 11.95 (22.67) 7.05 (13.38) - 33.72 (63.96) 52.73 (100)
Chung-nam 13.88 (24.10) 9.30 (16.15) - 34.42 (59.75) 57.61 (100)
Jeon-buk 12.72 (27.19) 8.26 (17.66) - 25.79 (55.15) 46.77 (100)
Jeon-nam 11.86 (30.62) 6.14 (15.84) - 20.75 (53.54) 38.75 (100)
Gyeong-buk 12.69 (23.06) 8.97 (16.30) - 33.36 (60.64) 55.02 (100)
Gyeong-nam 13.24 (26.34) 8.74 (17.38) - 28.29 (56.28) 50.27 (100)
Jeju 14.51 (19.69) 1.05 (1.42) - 58.14 (78.89) 73.69 (100)

토지수지로 분석한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인 유출은 Table 13과 같다. 경기도의 인 유출량은 108.84 kg-P ha-1 yr-1으로 작물생산 12.21, 작물부산물 7.35, 수계유출 89.28 kg-P ha-1 yr-1이다. 제주도의 인 유출량은 84.03 kg-P ha-1 yr-1으로 작물생산 14.51, 작물부산물 1.05, 수계유출 68.47 kg-P ha-1 yr-1이다. 전국 도 단위의 단위면적당 평균 인 유출량은 76.22 kg-P ha-1 yr-1으로 작물생산 14.59, 작물부산물 7.01, 수계유출 54.61 kg-P ha-1 yr-1이다.

Table 13.

Phosphorus output in croplands according to the land budget.

Province Crop Atmospheric
outflow
Water system
outflow
Sum
Crop production Crop byproduct
kg-P ha-1 yr-1 (%)
Gyeonggi 12.21 (11.22) 7.35 (6.75) - 89.28 (82.03) 108.84 (100)
Gangwon 28.26 (36.38) 6.26 (8.05) - 43.17 (55.57) 77.69 (100)
Chung-buk 11.95 (16.10) 7.05 (9.51) - 55.21 (74.39) 74.21 (100)
Chung-nam 13.88 (16.35) 9.30 (10.96) - 61.74 (72.70) 84.93 (100)
Jeon-buk 12.72 (19.71) 8.26 (12.80) - 43.54 (67.48) 64.51 (100)
Jeon-nam 11.86 (22.86) 6.14 (11.83) - 33.89 (65.31) 51.89 (100)
Gyeong-buk 12.69 (17.17) 8.97 (12.13) - 52.26 (70.70) 73.92 (100)
Gyeong-nam 13.24 (20.09) 8.74 (13.25) - 43.94 (66.66) 65.92 (100)
Jeju 14.51 (17.27) 1.05 (1.24) - 68.47 (81.49) 84.03 (100)

토양수지와 토지수지를 포함한 양분수지 분석에서 질소유출은 작물생산, 작물부산물, 대기유출, 수계유출로 구분한다. 인의 경우 대기로의 휘발이 일어나지 않으며, 토양 중에 흡착 ‧ 고정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인의 수계유출 항목에는 토양 중에 흡착 고정되는 인 성분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특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의 수계유출은 수용성 인이 유출되기보다는 토양의 침식 또는 유실과 함께 수계로 유출되는 특성이 있다. 경기도는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양분이 유입되는 지역이지만, 작물생산으로 인한 양분유출은 강원도 다음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지역에서 양분의 유입은 높지만 작물생산이 낮은 것은 양분이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고 수계로 유출될 수 있는 잠재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양분유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축분뇨 퇴 ‧ 액비, 무기질비료 사용 저감과 작물생산성을 향상시켜 양분의 유출을 감소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3. 양분수지 산출 방법론에 따른 양분관리 지표 비교

토양수지와 토지수지를 이용한 총질소수지 (Gross nutrient balance of nitrogen, GNB-N)와 순질소수지 (Net nutrient balance of nitrogen, NNB-N)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토양수지와 토지수지에 의한 총질소수지는 각각 전국 평균 222와 358 kg-N ha-1이었으며 순질소수지는 180 kg-N ha-1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순인수지 (Net nutrient balance of phosphorus, NNB-P)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15와 같다. 토양수지와 토지수지의 순인수지는 35.02, 54.61 kg-P ha-1이었다. 토지수지에서의 총질소수지 지표가 높게 평가되는 것은 총질소수지의 지표가 대기 유출량과 수계 유출량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RDA, 2019). 또한, 토지수지의 경우는 농가에서 가축분뇨의 저장 관리 단계 및 가축분뇨의 퇴 ‧ 액비화 과정에서의 질소 휘산 및 탈질량을 포함하고 있어, 토양수지와 비교해서 대기 유출량이 높게 평가되기 때문이다. 인의 경우, 대기유출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순인수지의 차이는 가축분뇨의 저장 및 퇴 ‧ 액비화 과정에서 일부 인성분이 가축 사육사 및 저장조의 벽면에 침착되거나, 퇴 ‧ 액비화시 고액분리 과정에서 슬러지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KREI, 2018).

Table 14.

Comparison of nitrogen indicators by soil budget and land budget.

Province Soil budget Land budget
GNB-N NNB-N GNB-N NNB-N
kg-N ha-1
Gyeonggi 282 226 509 226
Gangwon 253 211 372 211
Chung-buk 215 173 361 173
Chung-nam 237 190 427 190
Jeon-buk 220 179 347 179
Jeon-nam 185 152 277 152
Gyeong-buk 185 146 323 146
Gyeong-nam 162 127 276 127
Jeju 260 220 330 220
Average 222 180 358 180

Gross nutrient balance of nitrogen.

Net nutrient balance of nitrogen.

Table 15.

Comparison of phosphorus indicators by soil budget and land budget.

Province Soil budget Land budget
GNB-P NNB-P GNB-P NNB-P
kg-P ha-1
Gyeonggi 55 55 89 89
Gangwon 26 26 43 43
Chung-buk 34 34 55 55
Chung-nam 34 34 62 62
Jeon-buk 26 26 44 44
Jeon-nam 21 21 34 34
Gyeong-buk 33 33 52 52
Gyeong-nam 28 28 44 44
Jeju 58 58 68 68
Average 35 35 55 55

Gross nutrient balance of phosphorus.

Net nutrient balance of phosphorus.

결 론

우리나라는 농경지에 투입되고 있는 과잉양분을 관리하고, 지역의 농업환경을 고려하는 지역단위 양분관리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다양한 지역의 농업환경을 반영하는 양분수지 분석모델 중 토지수지와 토양수지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국 도단위의 총양분수지와 순양분수지를 분석하였다. 토지수지는 농가에서 저장 관리 단계 및 가축분뇨의 퇴 ‧ 액비화 과정에서의 질소 휘산 및 탈질량을 포함하기 때문에 실제 농경지에 투입되는 양분을 반영하는 토양수지에 비해 질소의 총양분수지 지표 (GNB-N)가 높게 산출되었으며, 순양분수지 지표 (NNB-N)는 토양수지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인성분의 경우 대기유출이 일어나지 않는 특성이 있어 인의 총양분수지 (GNB-P)와 순양분수지 (NNB-P)는 토지수지와 토양수지 각각에서 동일한 지표값을 나타내었다. 즉, 질소의 수계유출 잠재량을 나타내는 질소 순양분수지 지표는 토지수지와 토양수지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수계 및 대기로의 유출 잠재량을 나타내는 질소 총양분수지 지표는 토지수지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단위 양분수지 관리가 수계로의 비점오염원 유출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토지수지 또는 토양수지 방법론의 채택이 동일한 지표관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양분관리제도가 암모니아 휘발 등 대기로의 질소 유출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가축분뇨의 저장 및 퇴 ‧ 액비 제조과정에서의 질소 대기유출량을 모두 포함하는 토지수지 방법론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이, 지역 양분수지 분석 사례에 기초하여 토지수지와 토양수지의 방법론을 비교한 결과, 지역단위 양분수지 관리를 위한 양분수지 산출 방법론은 양분관리 제도의 도입의 관리 목적에 따라 채택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경지에서의 비점오염원 관리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경우, 경계조건을 농경지로 설정하고 있는 토양수지 방법론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공동연구사업 (과제번호: PJ 421046-03)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Kim, D.W., Ryu, H.D., Lim, D.Y., Chung, E.G., Kim, Y.S., 2017. Development of a nutrient budget model for livestock excreta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3(6), 769-779.
2
KREI, 2005. Study on implementation plan of regional nutrient management institution (Korea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3
KREI, 2018. Development of nutrient management manual (in Korea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4
Lee, J.H., An, J.H., Cho, E.S., Yoon, Y.M., 2021. Study of methodology estimating the net nitrogen balance for the management of regional nutrient balance.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54(2), 174-192.
5
Lee, J.H., Yoon, Y.M., 2019. Comparison of nutrient balance and nutrient loading index for cultivated land nutrient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7(4), 554-567. 10.11626/KJEB.2019.37.4.554
6
Leip, A., Britz, W., Weiss, F., Vries, W.D., 2011. Farm, land, and soil nitrogen budgets for agriculture in Europe calculated with CAPRI. Environmental Pollution, 159, 3243-3253. 10.1016/j.envpol.2011.01.04021420769
7
MAFRA, 2020.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in Korea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8
ME ‧ MAFRA, 2004. Integrated actions for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livestock manure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9
ME ‧ MAFRA, 2016. Study on introduction of cropland nutrient management institution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10
ME, 2021. Livestock manure generation and treatment status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11
NACF, 2017. Fertilizer business statistics.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Seoul, Korea.
12
OECD, 2017. OECD compendium of agri-environmental indicator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France.
13
RDA, 2019.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methodology for the improvement of farmland nutrient bala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